TypeScript: 공변과 반변, 그리고 객체 타입에서의 두 가지 함수 표기법

TypeScript: 공변과 반변, 그리고 객체 타입에서의 두 가지 함수 표기법

객체의 키에 함수를 할당하는 법은 두 가지가 있다.

const obj = {
  // 화살표 표기법
  foo: () => {
    console.log(this)
  }, // Window
  // 속성 단축 표기법
  bar() {
    console.log(this)
  }, // {foo: function, bar: function}
}

구분해서 부르자면, foothis 맥락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객체의 키에 할당한 함수, barthis를 객체로 묶어주므로 메서드라고 할 수 있을까?

TypeScript에서 객체 타입을 선언할 때도 두 표기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. 그런데 결과물에는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여서, 팀의 코드 컨벤션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수준에 그칠 수도 있다.

type ObjType = {
  foo: () => void
  bar(): void
}

interface ObjInterface {
  foo: () => void
  bar(): void
}

그러나 --strict를 키면 차이가 생기는데, 정확한 차이를 알려면 공변과 반변, variance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.

타입과 서브타입의 관계

Dog 타입과 Animal 타입이 존재하고, DogAnimal의 서브타입이라고 하자.

interface Animal {
  id: number
}
interface Dog extends Animal {
  name: string
}

그렇다면 Animal의 자리에는 Dog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.

declare let animal: Animal
declare let dog: Dog

animal = dog // OK, dog도 id가 있음

여기까지는 대부분 알고 있는 내용이다. 그러면… AnimalDog의 관계만으로 Array<Animal>Array<Dog>의 관계도 설명할 수 있을까?

공변 타입, Covariant

declare let animals: Array<Animal>
declare let dogs: Array<Dog>

animals = dogs // OK!

위의 코드는 오류가 아니다. DogAnimal의 타입 관계가 Array<Dog>Array<Animal>에서도 유지되는 것이다. 그래서 제네릭을 사용하지 않아도 아래 코드는 유효하다.

function sortByName(cs: Animal[]): Animal[] {
  return [...cs].sort((a, b) => a.id - b.id)
}
// 반환할 때 Dog[]을 유지하고 싶으면 제네릭을 써야 함
// function sortByName<T extends Animal>(cs: T[]): T[]

sortByName(animals)
sortByName(dogs) // 모든 Dog는 id를 가지고 있으므로 문제 없음

Array<T>처럼 타입을 받아서 더 복잡한 타입을 반환하는 타입을 고차 타입(Higher order type)이라고 한다. 마치 Array처럼, 임의의 고차 타입 X에 대해, AB일 때 X<A>X<B>이면 X변(covariant) 타입이다.

반변, Contravariant

타입과 서브타입의 관계가 고차 타입 사이에서도 유지될 때 공변함을 보았다. 그 반대인 변(contravariant) 타입은,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, 타입과 서브타입의 관계가 고차 타입에서 역전된다. 즉 임의의 고차 타입 X에 대해 AB일 때 X<B>X<A>인 경우 X는 반변 타입이다.

공변은 상속과 방향이 같으니까 조금만 생각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겠지만, 이건 방향이 정반대다. 어떻게 가능한 걸까? 잘 와 닿지 않으니, 동물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로 알아보자.

type View<T> = (v: T) => void

let viewAnimal: View<Animal> = (a) => console.log('ID', a.id)
let viewDog: View<Dog> = (d) => console.log('ID', d.id, 'Name', d.name)

viewDog = viewAnimal // OK!
viewAnimal = viewDog // Property 'name' is missing in type 'Animal' but required in type 'Dog'.

TypeScript Playground에서 확인할 수 있듯, View<Dog>에는 View<Animal>을 대입할 수 있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. DogAnimal을 넣을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관계가 역전된 셈이다. 타입 안전성이 깨지지 않는지 하나씩 살펴보자.

  • View<Dog>View<Animal>을 대입할 경우,
    1. View<Dog>Dog를 제공하면 idname을 화면에 출력한다.
    2. View<Animal>Animal을 제공하면 id를 화면에 출력한다.
    3. View<Dog>View<Animal>을 대입하면, Dog를 제공했을 때 id를 화면에 출력한다.
    4. 모든 Dogid를 가지고 있으므로 항상 정상으로 동작한다.
  • View<Animal>View<Dog>를 대입할 경우,
    1. View<Animal>Animal을 제공하면 id를 화면에 출력한다.
    2. View<Dog>Dog를 제공하면 idname을 화면에 출력한다.
    3. View<Animal>View<Dog>를 대입하면, Animal을 제공했을 때 idname을 화면에 출력한다.
    4. Animalname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. 따라서 정상 동작을 장담할 수 없다.

그러니 반변성을 통해 타입 시스템의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.

반변하는 경우, 공변하는 경우, 그 외의 경우

TypeScript는 공변과 반변을 나타내는 별도의 구문이나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다.

TypeScript 4.7부터 공변과 반변을 outin 키워드로 명시할 수 있다.

(2022년 5월 30일 업데이트)
  • 함수가 아닌 타입은 공변한다.
    • type WithID<T> = T & { id: number }
  • 제공한 타입을 반환하는 함수 타입 역시 공변한다.
    • type Picker<T> = (arr: unknown[]) => T
  • 제공한 타입을 매개변수로 사용하는 함수 타입은 반변한다.
    • type NumberParser<T> = (v: T) => number
  • 제공한 타입을 매개변수로도 사용하고 반환형으로도 사용하는 함수 타입은, 하나의 타입에 대해 공변하는 동시에 반변할 수는 없으므로 무공변(invariance) 타입이다. 즉 기존의 타입 관계를 유지하지 않는다.
    • type Finder<T> = (arr: T[]) => T

넓은 값은 더 넓은 곳에 적용할 수 있으니 공변하고, 넓은 값을 필요로 하는 함수는 더 좁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니 반변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.

그리고 고차 타입의 매개변수가 두 개 이상이면 각각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. Map<K, V>의 공변성과 반변성을 확인해보자.

그래서 함수 표기법의 차이가..?

Viewer<T> 인터페이스를 생각해보자.

interface Viewer<T> {
  view: (v: T) => void
}

Viewer<T>는 두 개의 고차 타입으로 분해할 수 있다.

type View<T> = (v: T) => void
type WithView<T> = { view: T }

type Viewer<T> = WithView<View<T>>
  • View는 반변한다.
  • WithView는 함수가 아닌 타입이므로 공변한다.
  • 반변하는 타입에 공변하는 타입은 반변한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. (-1 * 1 = -1) 따라서 ViewerT에 대해 반변한다.
interface Viewer<T> {
  view: (v: T) => void
}

declare let animalViewer: Viewer<Animal>
declare let dogViewer: Viewer<Dog>

dogViewer = animalViewer // OK!
animalViewer = dogViewer // Error!

타입 시스템 역시 예상한 그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러면 속성 단축 구문을 사용해도 동일해야 한다. 그러나, 여기까지 왔으면 예상했겠지만, 그렇지 않다.

interface Viewer<T> {
  view(v: T): void
}

declare let animalViewer: Viewer<Animal>
declare let dogViewer: Viewer<Dog>

dogViewer = animalViewer // OK!
animalViewer = dogViewer // OK..?

animalViewer = dogViewer는 성립하지 않아야 하지만 타입 시스템은 아무런 문제도 찾지 못한다. 속성 단축 표기법을 사용할 경우 실제 공변/반변성과는 달리 양변(bivariant) 타입이 된다. --strict를 켰음에도 불구하고 타입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기는 것.

그러므로 인터페이스건 객체 타입이건, 정말로 양변하는 타입을 의도한 것이 아니면 항상 화살표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참고 문서